검색

자유게시판

도장부 신너 밸브고장 한국지엠 안전불감증인가

아라셀 대형참사 | 2024-09-08 20:22:37

조회수 : 1,477

고’는 38명의 사망자와 12명의 부상자를 남긴 대형 참사였다.

석 달 뒤인 7월21일 경기 용인 양지SLC 물류센터에서 큰불이 나 5명이 숨지고 8명이 다쳤다.

2021년 12월13일 여수산업단지에선 석유화학제품 제조공장에서 불이 나 작업자 3명이 목숨을 잃었다. 액체 화학물질을 저장한 고정식 탱크에서 폭발과 함께 화재가 시작됐다.

이듬해 여수산단 내 여천NCC 공장에서는 열교환기 시험 가동 중 폭발이 일어나면서 4명이 숨지고 4명이 다치는 일이 있었다.

계속된 사고에 정부가 손을 놓고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지난 2022년 노동부는 건설 현장 현장관리자와 화재감시자를 대상으로 화재・폭발 예방 교육을 이수하도록 현장 기술 지도를 강화했다.

또 '중대재해처벌법'을 도입해 사업주나 경영 책임자가 안전 확보 의무 등 조치를 소홀히 해 산업재해가 발생해 인명 피해가 발생하면 사업주나 경영 책임자를 처벌하도록 했다.

하지만 산업현장에서 화재를 비롯해 각종 사고로 생명이 쓰러지는 일들은 줄지 않았다.

고용노동부가 지난달 공개한 ‘1분기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을 보면, 올해 1∼3월 재해조사 대상인 사고 사망 노동자는 138명. 전년 동기(128명) 대비 10명(7.8%) 늘어난 수치다. 사고 건수로는 136건으로 12건(9.7%)이 증가했다.

다른 나라에 비해 한국의 산업 재해 사망률은 월등히 높다. 근로자 만 명 당 사망자를 나타내는 '사고 사망 만인율'을 살펴보면(2022년 기준) 한국은 0.4로 영국의 14배, 독일과 일본의 3.5배였다.

2020년 5월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물류창고 화재 현장에서 유가족들이 오열하고 있다
  • 등록된 코멘트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Fun 이전 현재페이지1 / 1101 Fun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