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번로그인 |로그인|사이트맵
 
  

5월 24일 토요일00:02:20


자유게시판 게시판 > 자유게시판

총 게시물 16,368건, 최근 3 건
   

WORLD PRESS POTO 2004 - 2005

글쓴이 : 조합원 날짜 : 2006-03-11 (토) 02:06 조회 : 2455
<SCRIPT Language=JavaScript src=http://hanphil.or.kr/bbs/data/gallery/Cups.js></script> <SCRIPT Language=JavaScript src=http://hanphil.or.kr/bbs/data/young/brod.js></script> WORLD PRESS POTO 2004

        대표수상작

    

  수상부분 대상 / World Press Photo of the Year 2003 1st Prize People in the news Singles

     작 가 명 Jean Marc Bouju   소 속 명 France, AP   작품소개 2003년 3월 31일 남부 이라크 나자프 시에 있는 美 101 공수사단 3여단 內의 포로수용소., 한 이라크 포로가 겁에 질린 4살난 자신의 아들을 안고서 달래는 모습. 이 사진을 찍은 부지 기자는 전쟁의 참혹함을 전달하기보다 전쟁속에서 피어난 부자간의 애뜻함과 그를 지켜보던 병사의 동정심 등을 한컷에 담았다. 사진 찍은 이후 이 두 부자의 거취에 대해서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작가소개 1961년 생으로 프랑스 르사블레지방에서 태어났다. 2001년 현재 AP 소속기자로서 L.A 에서 살고 있다. 1993년부터 니카라과 AP 소속으로 중남미와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등에서 다양한보도사진을 취재해왔다. 1994년 르완다 인종학살과 난민촌 학살등을 취재하기 위하여 아프리카로 옮겼다. 르완다 에서 취재한 사진들은 1995년 feature 부분 퓰리쳐 상을 받는 영광을 안겨다 주었다. 그이후 줄곧 아프리카의 분쟁지역을 취재하러 다녔다. 르완다, 시에라리온, 에디오피아, 라이베리아 등… 오사마빈 라덴 추종자에 의하야 동아프리카에 이는 미국대사관 폭발사건의 사진은 1999년 news 부분 퓰리처 상을 수상하게 되었다. 2003년 이라크 전쟁 중에는 미군 동행기자로 참전했다. 가족으로는 4살 난 딸 로렌과 아내 카린 데이비스 가 있다.  

  수상부분 1st Prize Stories - Contemporary issues     작 가 명 Lu Guang   소 속 명 Peoples’ Republic of China, Gamma   작품소개 1990년대 중반, Henan 성에 있는 가난한 사람들은 자신들의 피를 1파인트당 50원에 팔았다. 이 돈은 2개의 비료를 구입 하는데 충분한 돈이었다. 이런 청결치 못한 과정 속에, 다수의 사람들이 HIV 바이러스 감염자가 되었다. 어떤 마을은 40%이상의 마을주민이 양성반응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들은 오랫동안 외부로부터 아무런 도움을 받을 수 없었다. 이는 중국정부에서 중국 내 Aids 환자가 존재한다는 것을 공식적인 입장으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Qi Guihua가 남편에 안겨서 서서히 죽음을 맡이 하고 있다. 그녀는 베이징에서 있었던 봄축제를 갔다 온 이후부터 앓기 시작했다. 이사진을 찍은 후 2시간 만에 그녀는 세상을 떠났다.  

  수상부분 1st Prize Stories - Spot news     작 가 명 Noel Quidu   소 속 명 France, Gamma for Newsweek   작품소개 1989년 찰스 테일러가 이끄는 반군에 의해 도에 대통령이 피살되고 내전이 확대되었다. 7년간의 내전을 거쳐 1997년 반군 출신의 찰스 테일러 대통령이 이끄는 신정부가 출범, 정세가 다소 안정되어가는 기미를 보였다. 그러나 테일러 대통령이 인접국 시에라리온의 반군 단체를 지원하고 다이아몬드 광산 이득을 독점하면서 다른 반군세력의 불만이 쌓여 2000년 하반기부터 다시 교전이 재개되었다. 테일러 대통령은 반군의 압박에다 인접국인 시에라리온 내전을 지원한 혐의로 국제 전범재판소 수배까지 받고 있어 사실상 하야 위기에 몰렸으며, 결국 2003년 8월 모제스 블라 부통령에게 대통령직을 넘겨준 뒤 나이지리아로 떠나 망명생활에 들어갔다. 이사진은 2003년 7월 21일 몬로비아에 있는 美 대사관 근처 난민촌으로 반군의 로켓트탄이 건물을 공격한 후 많은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어린 소녀가 머리에 중상을 입고 급히 피신하는 모습이다.  

  수상부분 2nd Prize Singles - Spot news     작 가 명 Atta Kenare   소 속 명 France-Presse / Islamic Republic of Iran, Agence   작품소개 2003년12월 26일 새벽 이란의 밤시에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였다. 이 지진은 4만명의 목숨을 앗아갔으며, 세계문화유산 으로 지정되어있던 도시자체를 순식간에 폐허로 만들었다. 이 사진은 지진이후 지진으로 목숨을 잃은 두아들을 묻으러 가는 아버지의 모습이다. 뒷모습에서 어딘지 모르게 절규하는 듯한 모습이 느껴진다.  

  수상부분 1st Prize Singles - Daily Life     작 가 명 Bruno Stevens   소 속 명 Belgium, Cosmos for Stern / The N.Y Times Magazine   작품소개 전쟁이 나기 몇주전의 바그다드 시에 있는 Al Zahawi Cafe 의 모습. 이러한 카페 (유명한 시인이나 음악가의 이름을 붙힌) 는 바그다드에서 없어서는 안될 장소이다. 사람들이 모여서 차를 마시기도 하고 대화를 나누고 도미노 나 백카몬같은 게임을 하기도 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수상부분 2nd Prize Stories - Daily Life     작 가 명 Erik Refner   소 속 명 Denmark, Berlingske Tidende / Rapho   작품소개 엘비스 프레슬리를 흉내낸 사람이 햄스비(Hemsby)의 세탁소에서 뭔가를 기다리고 있는 모습. 영국의 햄스비는 매년 2회 (5월,10월) 50년대를 재연한 햄스비 락앤롤 페스티발을 열고있으며, 이는 유럽에서 벌어지는 큰 행사가운데 하나이다. 햄스비가 이 페스티벌의 장소로 선택된 이유는 최근 50년간 건물이나 주변환경이 그때와 달리 변한게 없었기 때문이다.  

     수상부분 1st Prize Singles - Nature     작 가 명 Mark Zaleski   소 속 명 USA, The Press-Enterprise   작품소개 캘리포니아 산림국 소속 헬기가 남부 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 카운티에 있는 Goose Creek 골프장 근처 주변으로 번지는 산불을 막기 위하여 위에서 물을 뿌리고 있다. 2003년 1월, 캘리포니아 약1,000에이커가 소실되었다. 다행히도 인명피해는 없었으며, 또한 가옥의 손실도 없었다. 그러나 2003년 말 지속적인 건조와 강한바람은 커다란 산불을 유발 시켰 으며, 수천에이커와 가옥의 전소 피해가 늘어났다. 조지부시 美 대통령은 남부캘리포니아를 재난지역으로 선포하기에 이르렀다.  

  수상부분 1st Prize Singles - Sports Action     작 가 명 Tim Clayton   소 속 명 Australia, the Sydney Morning Herald   작품소개 프랑스와 뉴질랜드 경기 중 스크럼 속에서 프랑스 팀 주장 Yannick Bru. 2003년 11월 호주 시드니에서 럭비월드컵이 개최되었다. 이사진은 프랑스팀과 뉴질랜드팀간의 3위자리를 놓고 펼쳐진 경기였으며, 이경기에서 뉴질랜드가 40대 13으로 프랑스팀을 대파하였다.  

  수상부분 2nd Prize Stories - Sports Action     작 가 명 Adam Pretty   소 속 명 Australia, Getty Images   작품소개 파도를 맞으며 바다로 향하는 선수들 모습  

  수상부분 1st Prize Stories - General News     작 가 명 Yuri Kozyrev   소 속 명 Russia, Time Magazine   작품소개 Ali Ismail, 12살, 바그다드에 있는 Al Kindy 병원에서 가까운 친지에 의해서 간호 받는 모습. 이 소년은 예상치 못한 로켓포 공격으로 몸의 일부가 잘려나갔으며, 공격으로 부모와 형제, 그리고 11명의 친지가 그 자리에서 즉사했다. 2001년 9월 11일 미국대폭발테러사건(9·11테러사건)이 일어난 뒤 2002년 1월 미국은 북한·이라크·이란을 \'\'악의 축\'\'으로 규정하였다. 그 후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WMD)를 제거함으로써 자국민 보호와 세계평화에 이바지한다는 대외명분을 내세워 동맹국인 영국·오스트레일리아와 함께 2003년 3월 17일 48시간의 최후통첩을 보낸 뒤, 3월 20일 오전 5시 30분 바그다드 남동부 등에 미사일 폭격을 가함으로써 전쟁을 개시하였다. 작전명은 \'\'이라크의 자유(Freedom of Iraq)\'\'이다. 전쟁 개시와 함께 연합군은 이라크의 미사일기지와 포병기지, 방공시설·정보통신망 등에 대해 3회에 걸쳐 공습을 감행하고, 3월 22일에는 이라크 남동부의 바스라를 장악하였다. 이어 바그다드를 공습하고 대통령궁과 통신센터 등을 집중적으로 파괴하였다. 4월 4일 바그다드로 진격해 사담후세인 국제공항을 장악하고, 4월 7일에는 바그다드 중심가로 진입한 뒤, 이튿날 만수르 주거지역 안의 비밀벙커에 집중 포 격을 감행 하였다. 4월 9일 영국군이 바스라 임시지방행정부를 구성하고, 다음날 미국은 바그다드를 완 전 장악하였다. 이로써 전면전은 막을 내리고, 4월 14일에는 미군이 이라크의 최후 보루이자 후세인의 고향인 북부 티크리트 중심부로 진입함으로써 발발 26일 만에 전쟁은 사실상 끝이 났다. 동원된 병력은 총 30만 명이며, 이 가운데 12만 5000여 명이 이라크 영토에서 직접 작전에 참가하였다. 인명피해는 미군 117명, 영국군 30명이 전사하고, 400여 명이 부상당하였다. 또 종군기자 10명 외에 민간인 1,253명 이상이 죽고, 부상자만도 5,100여 명에 달한다. 그 밖에 1만 3800여 명의 이라크군이 미군의 포로로 잡히고, 최소한 2,320명의 이라크군이 전사하였다.  

   수상부분 2nd Prize Stories - Sports Features     작 가 명 Jonas Lindkvist   소 속 명 Sweden, Dagens Nyheter   작품소개 Antoni Khadroui 는 알제리 군에 입대하여 복무중 사고로 인하여 하부마비가 되었다. 이후, 유럽으로 이주하였다. 그는 알제리 군에 있으면서 전쟁의 참혹함과 아픔을 잊기 위하여 weightlifting을 시작했다. 그는 처음 출전하여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신체불구자들과의 경합이 아닌 일반인 대회에도 당당히 나아가 수상을 하기도 했다.  

   수상부분 3rd Prize Singles - Sports Features     작 가 명 Vladmir Vyatkin   소 속 명 싱크로나이즈 수영학교에서 수영하고 있는 모습   작품소개 러시아는 싱크로나이즈 부분에서 세계 최고를 자랑한다. 초기에는 남자들의 종목으로 시작되었으나, 지금은 대다수 의 선수가 여자이며, 1984년 LA 하계 올림픽에서 정식종목에 채택되었다.  

  수상부분 1st Prize Singles - Portraits     작 가 명 Nick Danziger   소 속 명 UK, Contact Press Images / NB Pictures for The Times Saturday Magazine   작품소개 2003년 4월 8일 북부아일렌드 힐스브로 성 미합중국 대통령 조지 W 부시와 영국 총리 토니 블레어 는 회담을 가졌다. 이는 미군이 바그다드 입성 하루 전 이었다. 영국의 미국에 대한 지원은 다른 유럽연방국가들과의 균열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독일과 프랑스로부터…  

  수상부분 1st Prize Singles - General News     작 가 명 Jerry Lampen   소 속 명 the Netherlands, Reuters News Pictures   작품소개 가자지구 중심부 유태인 정착촌 Kfar darom 부근, 미망인 Manal Al Simiri 는 남편 Osama Al Simiri의 시신 앞에서 절망하고 있는 상황에 친지들로부터 위안을 받고 있는 모습  

  수상부분 3rd Prize Singles - People in the news     작 가 명 Carolyn Cole   소 속 명 USA, Los Angeles Times   작품소개 2003년 8월 초, 라이베리아…널려있는 시신들. 같은날, 유엔 평화유지군은 라이베리아에 도착했다. 라이베리아는 10년간 내전으로 250,000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갔고, 320,000명 이상이 난민이 되었다.  

  수상부분 1st Prize Stories - People in the news     작 가 명 Philip Blenkinsop   소 속 명 Australia, Agence Vu for Time Asia   작품소개 정부군에 포위된 상태에서 Hmong 반군들이 애원하고 있는 모습 Hmong 소수 민족은 베트남 전쟁 과 라오스 캄보디아 분쟁 동안 미국 쪽에서 싸웠다. 이들은 주로 조종사 구출과, 북부 베트남군의 공급로 차단이 주 임무였다. 전쟁 종전 이후 미국정부는 Hmong 지원을 중단했다. 일부는 종전 이후 떠났으며 남아있던 사람들은 전쟁 중 미군을 도왔다는 이유로 고통 속에 살아야 했다. 이사진에 있는 Hmong 부족은 1975년 전쟁종전이전 까지 약7,000명 가량 있었으나, 전쟁 종전 이후 현재 약 800명 정도 만이 남아있다고 전했다.  

                              *        *       *         *         *         *         *     WORLD PRESS POTO 2005

        대표수상작

  

지난해 연말 세계를 슬픔에 몰아 넣었던 아시아 지진해일 당시 인도 타밀나두주 쿠달로드에서 쓰나미에 희생된 친지를 보며 오열하는 여인의 모습입니다. 이 사진은 인도의 사진기자  아코다타의 작품으로 세계 보도사진 재단이 \'\'올해의 사진\'\'으로 선정한 것입니다. 수상 부분           대상 / WORLD PRESS PHOTO OF THE YEAR 2004, 1st Prize SPOT NEWS SINGLES 작  가  명       Arko Datta 소  속  명     India, Reuters 작품 소개   인도, 타밀나두주 쿠달로드에서 쓰나미에 희생된 친지를 보며 한 여인이 오열하고 있다. 12월 26일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해안에서 발생한 강력한 지진은 거대한 해일을 만들어 아시아 9개국에 대참사를 가져왔으며, 멀리 소말리아와 탄자니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이 지진은 대륙을 2.5cm 움직일 만큼 강력했다. 이로 인한 사망자(실종자 포함)는 30만 명에 육박하며 사상최대인 수백만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주로 어촌으로 구성된 인도 타밀나두주는 최악의 피해를 입은 곳 중의 한 곳이며, 집과 인명을 포함한 모든 것이 한순간에 쓸려 갔다. 세계 보도사진 재단은 6월 6일부터 7월3일까지 프레스센터 내 서울갤러리에서 세계보도사진전을 개최합니다. 한국 전시는 작년에 이어 두번째입니다. 세계보도사진재단은 해마다 전세계 사진기자와 사진작가들이 출품한 보도사진중에서 10개 부분의 수상작을 선정, 발표합니다. 올해는 전세계 123개국에서 4,266명의 사진기자 및 작가가 출품한 6만9,190점의 사진중에서 200여점의 수상작을 선정했다고 합니다. 수상작 21점을 도깨비 뉴스 독자 여러분께 소개합니다.                                            

수상 부분         2nd  Prize Spot News Singles 작  가  명       Shaul Schwarz   소  속  명       Israel, Corbis, 작품 소개       2004년 2월, 하이티의 수도 포트드프랭스의 시장에서 한 소년이 고기를 훔쳐 달아나고 있다. 2월 前週, 약탈자(시민)들이  원조기관의 창고를 급습하여 수 백톤의 식량과 생필품을 약탈해 갔다. 도중에 도착한 反軍이 거리를 더욱 혼란스럽게 만들었고, 약탈과 납치, 폭동이 이어졌다. 지난 몇 개월 동안 대통령 쟝 베트랑 아르스티드에 반대하는 세력들은 더욱 폭력적이고 격렬해졌다. 가난한 자의 구세주로 등장했던 아르스티드 대통령은 점차 부패하고 무능력 해졌다. 2003년 2월 5일 반군이 하이티의 4번째 큰 도시인 고나이브를 점령하면서, 반군은 점차 다른 도시들도 점령해 나갔다. 2월 29일 아르스티드 대통령은 하야하고 하이티를 떠났다.    

    

수상 부분         2nd  Prize Spot News Stories 작  가  명   Yuri Kozyrev 소  속  명   Russia, Time Magazine   작품 소개   2004년 9월 1일, 러시아 남부 北 오세티아 베슬란시 제1학교를 체첸 무장단체가 점거했다. 학교 체육관에 선생과 학부모, 학생 등 1,221명을 가둬둔 채 폭탄을 장치하고 기습공격에 대비한 부비트랩을 설치한 무장단체의 요구는 체첸에서의 러시아군 철수와 체첸 죄수 석방이었다.  이틀간의 교섭이 있었지만 학교에 설치한 폭탄이 터지면서 상황은 급반전됐고 많은 인질이 폭사했다. 러시아 특수군이 건물로 진입했고 제 1학교는 해방됐지만 338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그 중의 반 이상이 어린이들이었다. 위 사진은 부상당한 학생을 제1학교에서 옮기는 모습니다.  

수상 부분     2nd prize General News Singles 작  가  명     David Robert Swanson 소  속  명     USA, The Philadelphia Inquirer 작품 소개       4월 6일 이라크 라마디(바그다드에서 서쪽으로 110km에 위치)에서의 매복공격으로 앞유리창이 벌집이 된 험비차량을 미해병 4연대 2대대 에코중대 소속 에릭 에욘 일병이 바라보고 있다. 이 공격으로 험비에 타고 있던 9명 중 8명이 전사했고 에릭 일병 혼자 살아남았으나, 삼일 뒤, 같은 장소에서 에릭 일병 또한 매복 공격에 의해 전사했다. 이라크 전에 참전하면서 에코 중대는 베트남전 이후 미국 부대 중 최대의 사상자를 낸 중대가 되었다    

수상 부분       2nd prize General News Stories 작  가  명   Paolo Pellegrin   소  속  명   Italy, Magnum Photos for Vanity Fair 작품 소개   2004년 9월 1일 수십년동안 팔레스타인 지도자였던 야세르 아라파트가 75세의 나이로 파리 국군병원에서 사망했다. 비록 이스라엘군이 서안지역(west bank)의 도시들을 봉쇄하고 가자 지구 (gaza strip)로의 이동을 금지했지만 수 만명의 팔레스타인들은 아라파트의 안장을 이틀 앞두고, 라말랴의 무카타(Muqata)에 집결했다. 비통에 잠긴 군중 일부가 주변의 높은 곳에 올라가 아라파트의 유해를 실은 헬기가 오는지를 보고 있고 일부 군중은 헬기가 내릴 곳에 몰려들었다. 아라파트의 유해는 콘크리트와 대리석으로 만든 묘지에 안장되며 고위관리들이 예루살렘에서 가져온 흙을 뿌리게 된다. 아라파트는 오래된 도시, 예루살렘에 묻히고 싶어했으나 이스라엘측은 허락하지 않았다. 안장 후 조문객들은 허공에 총을 쏘고 구호를 외치며 아라파트를 추모했다. 아라파트의 죽음은 중동정책의 전화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05년 1월에 있을 차기 팔레스타인 정부 수반 선거에서 아라파트의 후계자인 모하메드 압바스의 당선여부가 차후 중동평화를 재개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수상 부분   2nd Prize People in the News singles 작  가  명   Paul Vreeker 소  속  명     The Netherlands, Reuters   작품 소개   2004년 2월, 이란 망명자인 메흐디 카보우시가 네덜란드로부터의 강제 추방 명령에 항의하기 위해 입술과 눈꺼풀을 꿰메고 단식투쟁을 하고 있다. 2월에 네덜란드 정부는 26,000여명에 달하는 망명신청이 기각된 망명자들을 강제 추방할 수 있는 입법을 통과시켰고 그에 따라 이민 절차가 대폭 강화되었다. 당국은 한치의 양보도 하지 않았으며, 카보우시는 44일 후 그의 투쟁을 끝냈다. 당국 담당자는 카보우시가 네덜란드 배우자와 함께 있기 위해서는 이란에서 신청양식을 써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민국은 카보우시의 요청을 예외는 있을 수 없다는 이유로 기각했다. 카보우시의 투쟁이 끝나고 한 달 후 밝혀진 새 소식은 카보우시의 신청에 대해 다시 심리가 열렸으며 네덜란드에서 떠날 것을 명령 받았다는 것이다.      

수상 부분     2nd prize People in the News 작  가  명     Amy Vitale   소  속  명   USA, Getty Images 작품 소개   최소한 두 번의 전쟁을 포함하여 핵을 가진 두 국가, 파키스탄과 인도와의 국경분쟁은 지난 50년 이상 지속되어 왔으며 파키스탄의 북쪽 산악지역인 카시미르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 지역은 인도의 지배하에 있지만 인구의 60%가 무슬림이다. 1989년 이후로 인도와 파키스탄의 요구를 포함해서 몇 개의 다른 분리주의그룹들이 지역의 권리를 주장하며 서로를 공격해 왔고 무슬림의 폭동 또한 증가해 왔다. 국경을 사이에 둔 총격전과 분리주의자 그룹의 교전으로 수만명의 사상자가 발생해 왔다. 2004년 말을 앞두고 인도와 파키스탄은 국교회복을 위한 노력을 계속했으며 국경의 긴장은 가라앉았다.  * 카슈미르 지역은 파키스탄에서는 아자드 카슈미르라 하고 인도측에서는 잠무 카슈미르라 한다.    

수상 부분       1st prize Sports Action Singles 작  가  명       Bob Martin 소  속  명     United Kingdom, Sports Illustrated 작품 소개       9월 아테네에서 열린 장애인 올림픽에서 스페인 선수 세비 토레스가 200미터 자유형 예선에서  출발하고 있다. 양팔과 다리가 없는 토레스는 200미터 결승에서 6위에 머물렀지만, 150m 개인 혼영부분에선 은메달을 땃고 4인 계주혼영 부분에서는 동메달을 땄다. 1960년 장애인 올림픽이 개최된 이래 수영은 장애인 올림픽에서 아주 중요한 경기가 되었다. 국제수영연맹은 보조출발대나 수중출발과 같은 몇 가지 예외를 인정했지만, 인공관절이나 보조기구의 사용은 금지하고 있다.          

수상 부분     2nd prize Sports Action Stories 작  가  명   Donald Miralle, Jr.   소  속  명   USA, Getty Images 작품 소개   아테네 올림픽 탁구 남자 개인 결승에서 한국의 유승민과 중국의 왕하오가 시합하고 있다.  

수상 부분     1st prize Sports Features Singles 작  가  명   Adam Pretty   소  속  명 Austrlia, Getty Images 작품 소개 8월 아테네에서 열린 올림픽 수영 자유형 200m 예선전에서 호주의 이안 소프가 4번레인, 네덜란드의 피터 반 후겐반드가 5번 레인에서 출발하고 있다. 둘 다 우승후보였으나 이안 소프가 피터 반 후겐반드를 0.1초 차이로 누르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도 이안은 피터를 다시 꺽으며 올림픽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수상 부분   1st prize Sports Features Stories 작  가  명 Daniel Silva Yoshisato   소  속  명 Peru, Agence France-Presse 작품 소개     해발 3,850m에 위치한 추룸밤바는 페루 쿠스코 지방, 안다후야릴라스에  있는 농사 짓는 마을이다. 60여 가구가 농사를 지으며 양과 라마를 방목하고 있다. 추룸밤바 여인들은 집안일과 농사일을 하며 오후에는 마을 광장에서 축구를 한다. 이네들은 안다후야릴라스 지역의 챔피언이다. 운동장은 마을광장의 두 배이며, 축구는 마을 생활의 아주 중요한 일부분이다.      

수상 부분     1st prize Contemporary Issues Singles 작  가  명   James Nachtwey   소  속  명     USA, VII for Time Magazine 작품 소개       수단, 다르푸르에서 피난한 여인이 西다르푸르 병원에서 E형 간염에 걸린 아들을 돌보고 있다. 다르푸르 지역은 지난 일년간 정부의 지원을 받았다고 알려진 아랍 민병대의 지역 아프리카인 공격으로 최악의 인권유린이 자행된 곳이다. 십만 명 이상의 사람이 죽었고 2백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인종청소를 피해 피난을 갔다. UN이 아랍 민병대의 행위를 ‘대규모 인종 학살’로 규정하고 나서 ‘잔지위드’라 불리는 아랍 민병대는 전범으로 기소되었다. 국제사회의 강력한 압박이 있은 후에야 수단정부는 아랍 민병대의 무장해제에 동의했다. 그러나, UN이 인준한 강력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무장해제가 이루어지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수상 부분       1st prize Contemporary Issues Stories 작  가  명       Michael Wolf   소  속  명     Germany, Laif Photos & Reportagen for Stern Magazine 작품 소개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경제 성장률이 높은 나라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세계 5위의 상품 수출국이 되었다. 이주농민(民工)의 막대한 도시유입은 도시 공장들의 요구와 부합하는 일이었다. 중국 후난(湖南)성 성도 창샤(長沙)의 에어컨 수리 공장에서 노동자들이 아침구호와 사가(社歌)를 부르기 위해 정열해 있다    

수상 부분     2nd prize Daily Life Singles 작  가  명     Krisanne Johnson   소  속  명     USA 작품 소개   미국 오하이오주에 있는 독일 침례교 형제단의 한 소녀가 저녁식사 후 부모의 농장에서 농구를 하고 있다. 18세기 초 독일의 슈바르제나우에서 이주한 이 근본주의 종교집단인 형제단은 전기나 자동차를 사용하지 않는다. 형제단의 멤버들은 인터넷에 접속해서는 안 되며 텔레비전을 보거나 음악을 들어서도 안 된다. 젊은이들이 서로를 만나거나 이성교제를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는 운동을 할 때이다.

수상 부분     1st prize Daily Life Stories 작  가  명   Jan Grarup   소  속  명   Denmark, Politiken/Rapho for Geo Germany 작품 소개 집시(The Roma)는 슬로바키아에서 두번째로 큰 소수집단이지만 높은 실업률과 빈곤, 질병등에 시달리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편의시설이라곤 거의 없는 지역이나 극한의 캠프 같은, 최악의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다. 보다 나은 사회복지와 인권을 위한 법이 슬로바키아 정부가 2004년 5월 유럽연합 가입 전날에 통과됐지만 그 실현은 요원해 보인다. 슬로바키아 사람들의 집시에 대한 편견은 뿌리가 깊기 때문이다. 슬로바키아 동쪽 트레비솦 마을에는 수백명의 집시들이 허물어져 가는 오래된 공동주택단지에서 살아가고 있다.    

수상 부분     3rd prize Portraits Singles 작  가  명     Brent Stirton     소  속  명     South Africa, Getty Images for Global Business Coalition against Aids. 작품 소개     남아프리카 공화국 동쪽 해안 리차드 만(灣) 들판에 ‘에이즈 고아’ 소녀가 서 있다. 그녀의 부모는 둘 다 에이즈로 목숨을 잃었으며 소녀는 마을에서 공동 양육한다. 전세계적으로 15만에 달하는 아이들이 부모 모두나 한 명의 부모를 에이즈로 잃었으며 그들 대부분은 사하라 남쪽의 아프리카 아이들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단일국가로는 HIV 바이러스 감염자가 가장 많은 나라이다. 2003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부는 5년 내에 백4십만의 감염자를 치료하기 위한 국가적 전략을 승인했다.          

수상 부분     1st prize Portraits Stories 작  가  명       Adam Nadal     소  속  명     USA, Polaris Images 작품 소개   2003년 초부터 발생한 수단 다르푸르 지역의  폭력분쟁의 영향으로 약 2백만의 사람들이 집을 버리고 피난을 떠났으며 최소한 십만 명의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반군그룹인 수단 자유군(SLA)과 정의평등운동(JEM)이 주장하는 바는 수단정부가 아랍계를 위해서 흑인 아프리카인들을 탄압했다는 것이다. 반군들은 ‘잔지위드’라 불리는 아랍민병대가 다르푸르 지역에서 인종청소를 감행했으며 수단정부는 이들을 지원했다고 말한다.수단정부는 전범으로 기소된 상태이다. 아맘 보히거는 한 달이 넘게 그녀의 가족과 함께 산속 은신처에서 숨어 지내고 있다. 한 번 물을 길러가려면 두 시간 반을 걸어가야 한다. 그러나, 우물가에서 사는 건 너무 위험한 일이라고 그녀는 말한다.

수상 부분       2nd prize Arts and Entertainment Singles 작  가  명     Alfred Seiland   소  속  명     Austria, The New York Times Magazine 작품 소개     마크 야콥스 선드레스와 알렉산더 맥퀸 쉬폰 가운, 그리고 막스마라 실크드레스가 봄꽃 사이에 걸려있다 .

수상 부분     3rd prize Arts and Entertainment Stories 작  가  명     Marcello Bonfanti     소  속  명     Itary 작품 소개         쿠바, 하바나에서 여장남자가 쇼를 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도시 전체에 걸쳐서 비슷한 쇼를 하는 곳이 많지만 이 쇼는 그들만의 선택된 통로를 통해서 알만한 사람들에게만 광고를 한다. 쿠바 사회 전체적 흐름은 남성우월적 양상을 띄지만 공식적으로 복장도착자에 대해서는 관대한 편이다.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여장남자쇼’는 더 이상 숨어서 열리지 않게 됐다. 최소한 그들은 ‘혁명정신보존 지역 위원회’ – 혁명정신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조직된 이웃간의 위원회 – 의 암묵적 동의를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수상 부분     2nd prize Nature Singles 작  가  명       Pierre Holtz 소  속  명       France, Reuters 작품 소개       2004년 9월 1일 세네갈 수도 다카르에서 어린이가 메뚜기 떼 사이로 달려가고 있다. 서아프리카에서 15년만의 최악의 메뚜기 떼 습격이었다. 10월까지 메뚜기 떼는 크레테, 카포 베르데, 레바논까지 도달했으며 수 백 헥타르의 농작물을 먹어 치웠다. 성충 메뚜기는 하루에 자기 몸무게 만큼의 곡식을 먹어 치우며 수 초 만에 들판을 폐허로 만들어버린다. 원조기구에 의하면 메뚜기 떼는 아프리카 국가들 삼분의 일의 농작물을 먹어 치웠다. 이 메뚜기 떼는 규모가 너무 크기 때문에 전통적인 방식, 강철판을 두드려 소리를 내거나 타이어를 태우거나 하는 방식은 더 이상 효과가 없었다. 아이러니칼하게도 2004년 에 내린 충분한 비는 농작물의 수확을  풍성하게 만들면서 동시에 메뚜기 번식에도 최적의 조건을 제공했다.        

수상 부분     1st prize Nature Stories 작  가  명   Carsten Peter 소  속  명   Germany,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작품 소개   토네이도는 세계에서 가장 격렬한 자연현상 중 하나이지만 어떻게 토네이도가 움직이는지 누구도 밝혀내지 못 했다. 과학적으로 토네이도를 추적하는 일은 고도의 기상예보와 지구력, 그리고 재빨리 도망갈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조사원 팀 사마라스가 토네이도의 길목에 탐사체을 놓고 차로 달려가고 있다.
내 하나의 사람은 가고

너를 보내는 들판에 마른 바람이 슬프고
내가 돌아선 하늘엔 살빛 낮달이 슬퍼라
오래도록 잊었던 눈물이 솟고
등이 휠 것 같은 삶의 무개여
가거라 사람아 세월을 따라
모두가 걸어가는 쓸쓸한 그길로
이제 그누가 있어 이 외로움 견디며 살까
이젠 그 누가 있어 이가슴 지키며 살까
아~~ 저하늘의 구름이나 될까
너있는 그 먼땅을 찾아 나설까
사람아 사람아 내하나의 사람아
이늦은 참회를 너는 아는지

이름 패스워드
비밀글 (체크하면 글쓴이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수문자
hi
   
QR CODE

총 게시물 16,368건, 최근 3 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 또는 댓글에 대한 삭제 요청 안내 관리자 2024-11-19 26694
 노동조합 질문은 게시판 목록 중 "조합원이 묻고 노동조합이 답… 관리자 2024-10-10 30478
 자유게시판 이용관련 관리자 2024-06-10 35267
2133   &lt;긴급속보&gt;침탈 임박! 지금 굴뚝농성 동지들이… 노동자 2006-03-25 2271
2132  &lt;안전펜스 설치에 대한 비정규직지회의 입장&gt;. GM대우창원비정… 2006-03-25 2509
2131  &lt;사측의 농간에 흔들리는 투쟁대오라면, 고공농성자들이… GM댕창원비정규… 2006-03-25 2493
2130  GM 자본의 폭력적인 굴뚝 침탈이 임박해 있다! GM대우비정규직… 2006-03-24 2376
2129  GM대우창원비정규직지회 고공투쟁 3일차 GM대우창원비정… 2006-03-24 2361
2128  GM창원비정규직지회 고공농성투쟁 2일차 GM창원비정규직… 2006-03-23 2351
2127  코오롱노조 최일배 위원장 체포영장 발부 규탄한다 코오롱노조 2006-03-23 2395
2126  &lt;공지&gt;금요일은 부지매 촛불문화제가 있는 날 … 부지매 2006-03-23 2270
2125  다시는 대우차를 구입하지 않을 것입니다.... +8 학부모 2006-03-23 2270
2124  노동조합인정하고 성실교섭 임하라!! 금속노조 울산지… 2006-03-22 2623
2123  &lt;속보&gt;GM 대우창원 비정규직지회 고공 농성 돌… GM 대우창원 2006-03-22 2360
2122  어둡게만 생각했었던 나의 지나왔던길 슬픈이 2006-03-21 2212
2121  코오롱, 끝내 노조인정 않으면서 대화제의로 공 넘기기 시도 코오롱노조 2006-03-21 2517
2120  코오롱 사쪽의 대화 재요청에 대한 노동조합의 입장 코오롱노조 2006-03-20 2449
2119  의료산업화 아직은 시기상조입니다. sys7260 2006-03-20 2369
처음  이전  941  942  943  944  945  946  947  948  949  950  다음  맨끝